부제목: 투표일, 위치, 준비물까지 한 번에 정리한 필수 안내서
📌 목차
- 2025년 대선 투표일과 시간
- 투표소 위치 확인 방법
- 투표 시 필요한 준비물
- 투표 절차와 유의사항
- 사전투표와 당일투표의 차이점
- 거소·선상·재외투표 방법
- 투표 후 인증샷 주의사항
1. 2025년 대선 투표일과 시간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6월 3일 화요일에 실시됩니다. 투표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전국 모든 투표소에서 동일하게 운영돼요.
이날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예정이니, 일정에 여유를 두고 꼭 참여해 주세요. 한 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꿉니다!
2. 투표소 위치 확인 방법
투표소는 주민등록지 기준으로 자동 지정돼요. 투표소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www.nec.go.kr
-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 이용
- 지자체(시·군·구청) 홈페이지 확인
- 사전 안내문: 선거일 2주 전쯤 우편으로 도착해요
주소를 최근에 변경한 경우, 변경 전 주소지에서 투표해야 하니 꼭 확인하세요!
3. 투표 시 필요한 준비물
신분증 하나면 충분하지만, 반드시 실물 또는 유효한 모바일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복지카드
- 모바일 주민등록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앱 실시간 확인 가능해야 함)
복사본이나 사진 캡처본은 불가하니 꼭 유의하세요!
4. 투표 절차와 유의사항
투표는 아래 순서로 진행돼요:
- 투표소 입장 후 신분증 제시
- 선거인명부에 서명
- 투표용지 수령
- 기표소 안에서 기표용구로 후보자 1인에게만 기표
- 투표용지를 접어 투표함에 넣기
주의사항
- 필기구 지참 불가, 반드시 비치된 기표용구 사용
- 기표란을 벗어나거나 복수 기표 시 무효 처리됩니다
- 기표소 내부 촬영은 절대 금지예요!
5. 사전투표와 당일투표의 차이점
사전투표일은 5월 29일(목)~30일(금),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 (주민등록지 무관)
- 당일투표는 본인 주소지의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
일정이 바쁜 분들은 사전투표를 추천드려요! 미리 해두면 마음이 훨씬 편해요 😊
6. 거소·선상·재외투표 방법
특수한 사유로 일반 투표가 어려운 분들을 위한 방법도 준비돼 있어요:
- 거소투표: 몸이 불편하거나 병원·요양원에 있는 경우
- 선상투표: 선박 근무자 등을 위한 투표
- 재외투표: 외국에 거주 중인 국민들을 위한 투표
이들 모두 사전 신고가 필수예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신청 기간과 방법을 확인하세요.
7. 투표 후 인증샷 주의사항
투표 인증샷, SNS에 올리기 전 이건 꼭 확인하세요:
- 기표소 안은 촬영 금지
- 투표 용지 촬영은 불법
- 투표소 밖에서 손등 도장이나 명확한 인증샷만 OK
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꼭 주의해주세요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투표 당일 근무 중인데 시간을 낼 수 있나요?
A1. 네, 근로자는 투표 시간을 청구할 수 있고 고용주는 이를 보장해야 합니다.
Q2. 신분증을 깜빡했다면?
A2. 신분증 없이는 투표 불가입니다. 다시 집에 다녀오셔야 해요.
Q3. 사전투표는 어디서든 가능한가요?
A3. 네,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가능합니다. 본인 확인만 되면 OK!
Q4. 휴대폰 캡처본 신분증은 안 되나요?
A4. 안 됩니다. 실시간 인증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만 유효합니다.
Q5. 주소 이전했는데, 어디서 투표하나요?
A5. 5월 7일 이후 이전한 경우, 이전 주소지 투표소에서만 가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