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연봉별 실수령액 알아보기 | 내 연봉 계산하기

by Southpaw 2025. 5. 2.

2025 연봉별 실수령액 알아보기 ❘ 내 연봉 계산하기

연봉 협상 시즌이 다가오면 가장 궁금한 건 '실제로 얼마를 받게 될까?'입니다.
이번에는 2025년 기준으로 연봉 2,500만 원부터 1억 5천만 원까지 500만 원 단위로 실수령액을 정리해드릴게요.
세금과 4대 보험 등을 공제한 후 실제로 받는 금액을 확인해보세요! 💼


📌 목차

  1. 실수령액이란?
  2. 2025년 공제 항목 및 요율
  3. 연봉별 실수령액 표 (2,500만 원 ~ 1억 5천만 원)
  4.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 방법
  5. 실수령액을 늘리는 팁
  6. 연봉 협상 시 주의사항
  7. 마무리

1.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은 연봉에서 세금과 4대 보험 등을 공제한 후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즉, 세전 연봉 ≠ 세후 실수령액 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2. 2025년 공제 항목 및 요율

2025년 기준으로 실수령액 계산 시 적용되는 주요 공제 항목과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 고용보험: 0.9%
  • 소득세: 연봉 및 부양가족 수에 따라 차등
  •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이러한 공제 항목들을 반영하여 실수령액을 계산합니다.


3. 연봉별 실수령액 표 (2,500만 원 ~ 1억 5천만 원)

연봉(만원) 월 실수령액(원)
2,500 1,890,463
3,000 2,248,340
3,500 2,580,346
4,000 2,917,143
4,500 3,239,250
5,000 3,552,316
5,500 3,869,273
6,000 4,183,470
6,500 4,500,476
7,000 4,785,823
7,500 5,036,270
8,000 5,313,816
8,500 5,591,343
9,000 5,868,840
9,500 6,146,386
10,000 6,423,903
10,500 6,698,900
11,000 6,973,897
11,500 7,248,894
12,000 7,523,891
12,500 7,798,888
13,000 8,073,885
13,500 8,348,882
14,000 8,623,879
14,500 8,898,876
15,000 9,173,873

출처: FinFrankr


4.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 방법

더 정확한 계산을 원하신다면, 아래의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이 계산기들은 4대 보험, 소득세 등을 자동으로 계산해주어 편리합니다.


5. 실수령액을 늘리는 팁

  • 비과세 수당 활용: 식대, 교통비 등 비과세 수당을 적극 활용하세요.
  • 연금저축, IRP 가입: 세액공제를 통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부양가족 등록: 부양가족 수에 따라 소득세가 달라지므로, 정확히 등록하세요.

6. 연봉 협상 시 주의사항

  • 세전 연봉 vs 세후 연봉: 협상 시 세전 연봉인지, 세후 연봉인지 명확히 하세요.
  • 복리후생 확인: 연봉 외에 제공되는 복리후생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 성과급 여부: 성과급이 포함된 연봉인지 확인하고, 기준을 명확히 하세요.

7. 마무리

연봉이 높아질수록 공제되는 금액도 많아지므로, 실수령액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표와 계산기를 활용하여 자신의 실수령액을 확인하고, 연봉 협상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